BOINC

BOINC
개발자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
안정화 버전
7.4.36 (맥 OS X) / 2014년 12월 12일(10년 전)(2014-12-12)
7.4.36 (윈도우) / 2015년 1월 1일(10년 전)(2015-01-01)
7.2.42 (리눅스) / 2014년 2월 28일(10년 전)(2014-02-28)
7.4.39 (안드로이드) / 2015년 1월 25일(10년 전)(2015-01-25)
미리보기 버전
7.4.22 (리눅스) / 2014년 9월 17일(10년 전)(2014-09-17)
저장소
운영 체제리눅스, 맥 OS X, 윈도우, 안드로이드
크기8.01MB
종류그리드 컴퓨팅, 분산 컴퓨팅
라이선스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
상태계속 나오고 있음
웹사이트http://boinc.berkeley.edu/

네트워크 컴퓨팅을 위한 버클리 공개 인프라스트럭처(Berkeley Open Infrastructure for Network Computing, BOINC)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개발한 대한민국의 코리아앳홈과 같은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산컴퓨팅을 이용해서 정보를 처리하는 미들웨어이다. 이 프로그램은 같은 대학교의 프로젝트인 SETI@home개발에서 나왔으나, SETI@home을 비롯한 수학, 의학, 분자 생물학, 기후학, 천체물리학같은 주제들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. BOINC은 오픈소스 공개 프로그램이고,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(GNU Lesser Geneneral Public License, LGPL)를 채용하고 있다.

BOINC은 SETI@home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버클리 대학교 우주과학 연구소의 데이비드 P. 안드레센이 주축인 팀에서 개발되었다. 유사 슈퍼컴퓨팅 플랫폼인 BOINC는 2008년 11월 23일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500,000개 이상의 가동중인 컴퓨터(호스트)를 가지고 있으며, 평균 4.2 페타플롭스의 연산능력을 가지고 있다.[1] BOINC은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SCI/0221529 상[2]과 SCI/0438443[3], 그리고 SCI/0721124 상[4]에 의해 투자받았다. BOINC 프로젝트는 2010년 11월 기준으로 누적 사용자 206만명, 누적 컴퓨터 581만 대가 넘으며, 2008년 1월 기준으로 BOINC 프로젝트 중 하나인 SETI@Home은 340만 년의 컴퓨터 시간 동안 가동되었다.

  1. Willy de Zutter. “BOINC 총계 - 크레딧 개관”. BOINCstats.com. 2010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6년 10월 30일에 확인함. 
  2. Research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r Public-Resource Scientific Computing,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
  3. SCI: NMI Development for Public-Resource Computing and Storage,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
  4. SDCI NMI Improvement: Middleware for Volunteer Computing,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

From Wikipedia, the free encyclopedia · View on Wikipedia

Developed by Nelliwinn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