허블 우주 망원경 이 촬영한 R136
R136 성단의 폭주성
R136 은 독거미 성운 의 중심 부근에 있는 산개 성단 이다.[ 1] 약 100만년에서 200만년 된 성단으로,[ 1] 거성 과 초거성 으로 구성되어있다. 대부분 분광형 이 O3 으로,[ 1] O3형 항성이 39개 확인되었다.[ 1] [ 2] 또한 울프-레이에 별 도 몇 개 확인되고 있다.[ 2] [ 3]
R136 성단은 몇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. 중앙부의 R136a는 한때 질량이 태양의 1500배에 광도가 3000만배, 온도는 55000K에서 60000K고 직경은 8000만km에 달하는 초거성이라고 여겨졌었다. 하지만 R136a의 진짜 모습은 스페클 영상화 에 의해 해명되었는데,[ 4] 12개의 질량이 크고 광도가 높은 항성으로 구성된 성단인 것으로 밝혀졌다.[ 5] 이 항성들의 질량은 태양질량 의 37배에서 76배로 계산된다.[ 5] 또한 3개의 아주 밝은 항성(R136a1 , R136a2 , R136a3 )들이 각각 불과 0.1초, 0.48초 각도 차이로 떨어져 존재한다. 이 중 R136a1은 질량이 태양의 265배로 알려져, 현재까지 발견된 항성 중 가장 무겁다.[ 6] 또한 광도가 태양의 1000만배로 가장 밝은 항성이기도 하다.[ 7] R136은 독거미 성운이 방출하는 빛과 열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. 성단의 질량은 태양의 45만배로 여겨지고, 시간이 흐르면 구상성단 이 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.[ 8]
↑ 가 나 다 라 Massey, P ; Hunter, D. (January 1998). “Star Formation in R136: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” 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493 (1): 180. doi :10.1086/306503 .
↑ 가 나 Lebouteiller, V.; Bernard-Salas, J.; Brandl, B.; Whelan, D. G.; Wu, Yanling; Charmandaris, V.; Devost, D.; Houck, J. R. (June 2008). “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: NGC 3603, 30 Doradus, and N66” 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680 (1): 398–419. doi :10.1086/587503 .
↑ Melnick, J. (December 1985,). “The 30 Doradus nebula. I -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” . 《Astronomy and Astrophysics》 153 (1): 235–244.
↑ Weigelt, G.; Baier, G. (September 1985). “R136a in the 30 Doradus nebula resolved by holographic speckle interferometry” . 《Astronomy and Astrophysics》 150 : L18–L20.
↑ 가 나 Koter, Heap, and Hubeny, Alex; Heap, Sara R.; Hubeny, Ivan (1998). “An Empirical Isochrone of Very Massive Stars in R136A” . 《The Astrophysical Journal》 509 : 879–896. doi :10.1086/306503 . 2019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. 2012년 8월 10일에 확인함 .
↑ Amos, Jonathan (2010년 7월 21일). “Astronomers detect 'monster star' ” . BBC News.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.
↑ Chow, Denise (2010년 7월 21일). “Heftiest Star Discovery Shatters Cosmic Record” . SPACE.com.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.
↑ Bosch, Guillermo; Terlevich, Elena; Terlevich, Roberto (2009). “Gemini/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” . 《Astronomical Journal》 137 (2): 3437–3441. doi :10.1088/0004-6256/137/2/3437 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