《Sweetheart of the Rodeo》는 미국의 록 밴드 버즈의 여섯 번째 음반으로 1968년 8월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.[9] 컨트리 록의 선구자 그램 파슨스의 가세로 녹음된 이 음반은 컨트리 록으로 널리 인정받은 첫 번째 메이저 음반이 되었고[10] 밴드의 이전 음반인 《The Notorious Byrd Brothers》의 사이키델릭 록에서 벗어난 스타일적인 움직임을 나타냈다.[11] 버즈는 그들의 이전 네 장의 음반에서 컨트리 음악을 가끔 실험했지만, 《Sweetheart of the Rodeo》는 그 시점까지 이 장르에 완전히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.[12][2][13] 이 음반은 또한 음반의 녹음에 앞서 1968년 2월 버즈로 합류한 파슨스를 처음으로 주류 록 관객들의 관심을 받게 하는 역할을 했다.[13][14] 따라서, 이 음반은 젊은 청중들에게 컨트리 음악을 유행시키기 위한 파슨스의 개인적이고 음악적인 십자군 운동의 중요한 장이다.[15]
이 음반은 처음에 컨트리 음악, 재즈, 리듬 앤 블루스 등의 장르를 포함하는 20세기 미국 대중음악의 음악사로 구상되었다.[12] 그러나 버즈에 합류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잘 알려지지 않은 파슨스의 열정에 이끌려, 이 제안된 개념은 일찌감치 버려졌고 대신 이 음반은 순전히 컨트리 음반이 되었다.[12][16] 이 음반의 녹음은 내슈빌과 로스앤젤레스에서 세션으로 나뉘었고, 로이드 그린, 존 하트포드, 제이디 매네스, 클래런스 화이트를 포함한 몇몇 저명한 세션 음악가들의 기여가 있었다.[17] 파슨스와 나머지 밴드, 기타리스트 로저 맥귄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는데, 부분적으로 법적 문제로 인해 파슨스의 보컬 일부가 재녹음되었고, 8월에 음반이 발매될 때 파슨스는 밴드를 떠났다.[18][19][20] 컨트리 음악을 향한 버즈의 움직임은 컨트리 음악을 전복시키려는 긴 머리 히피들의 집단으로 버즈를 본 내슈빌 컨트리 음악계의 엄청난 저항과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.[16]
발매와 동시에, 이 음반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77위에 올랐지만, 영국에서 차트에는 오르지 못했다.[21][22] 1968년에는 〈You Ain't Goin' Nowhere〉와 〈I Am a Pilgrim〉이 발매되었는데, 이 곡은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.[22][23] 이 음반은 음악 매체에서 대부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, 밴드는 사이키델릭 음악에서 벗어나면서 대중적 관객들을 많이 소외시켰다.[24] 첫 번째 발매 이후 현재까지 버즈의 음반 중 상업적으로 가장 덜 성공한 음반임에도 불구하고, 《Sweetheart of the Rodeo》는 오늘날 매우 영향력 있는 컨트리 록 음반으로 여겨진다.[12]
- ↑ “Cashbox magazine (cover dated August 24, 1968)” (PDF). 《worldradiohistory.com》. Cashbox. 47쪽.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.
- ↑ 가 나 [(영어) https://www.allmusic.com/album/r3066 “Sweetheart of the Rodeo review”]. AllMusic. 2009년 9월 27일에 확인함.
- ↑ “The Byrds – Sweetheart of the Rodeo review”. Blender. 2009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0년 3월 3일에 확인함.
- ↑ Larkin, Colin (2007). 《Encyclopedia of Popular Music》 4판. Oxford University Press. ISBN 978-0195313734.
- ↑ “Sweetheart of the Rodeo (Legacy Edition) review”. Pitchfork Media. 2016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09년 9월 27일에 확인함.
- ↑ Gifford, Barry (1968년 9월 14일). “Records”. Rolling Stone. 2014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3년 12월 25일에 확인함.
- ↑ “Sweetheart of the Rodeo (Legacy Edition) review”. Stylus Magazine. 2010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09년 9월 27일에 확인함.
- ↑ “The Byrds – Sweetheart of the Rodeo review”. Uncut. 2008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10년 3월 3일에 확인함.
- ↑ Rogan, Johnny. (1998). 《The Byrds: Timeless Flight Revisited》 2판. Rogan House. 544–546쪽. ISBN 0-9529540-1-X.
- ↑ Chris Smith (2009). 《101 Albums That Changed Popular Music》. Oxford University Press. 63쪽. ISBN 978-0-19-537371-4.
- ↑ Hjort, Christopher. (2008). 《So You Want To Be A Rock 'n' Roll Star: The Byrds Day-By-Day (1965–1973)》. Jawbone Press. 187–188쪽. ISBN 978-1-906002-15-2.
- ↑ 가 나 다 라 Fricke, David. (1997). 《Sweetheart of the Rodeo (1997 CD liner notes)》.
- ↑ 가 나 “Sweetheart of the Rodeo review”. Sputnikmusic. 2009년 10월 9일에 확인함.
- ↑ Griffin, Sid. (1985). 《Safe at Home (1991 CD liner notes)》.
- ↑ “Sweetheart of the Rodeo”. ByrdWatcher: A Field Guide to the Byrds of Los Angeles. 201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. 2009년 9월 6일에 확인함.
- ↑ 가 나 Fricke, David (2003). 《Sweatheart of the Rodeo: Legacy Edition》 (CD booklet). The Byrds. New York City: Columbia/Legacy. 19–21쪽.
- ↑ Rogan, Johnny. (1998). 《The Byrds: Timeless Flight Revisited》 2판. Rogan House. 624–625쪽. ISBN 0-9529540-1-X.
- ↑ Rogan, Johnny. (1998). 《The Byrds: Timeless Flight Revisited》 2판. Rogan House. 250–261쪽. ISBN 0-9529540-1-X.
- ↑ Hjort, Christopher. (2008). 《So You Want To Be A Rock 'n' Roll Star: The Byrds Day-By-Day (1965-1973)》. Jawbone Press. 162–176쪽. ISBN 978-1-906002-15-2.
- ↑ Hjort, Christopher. (2008). 《So You Want To Be A Rock 'n' Roll Star: The Byrds Day-By-Day (1965-1973)》. Jawbone Press. 177–187쪽. ISBN 978-1-906002-15-2.
- ↑ Whitburn, Joel. (2002). 《Top Pop Albums 1955–2001》. Hal Leonard Corp. 121쪽. ISBN 0-634-03948-2.
- ↑ 가 나 Brown, Tony. (2000). 《The Complete Book of the British Charts》. Omnibus Press. 130쪽. ISBN 0-7119-7670-8.
- ↑ Whitburn, Joel. (2008). 《Top Pop Singles 1955–2006》. Record Research Inc. 130쪽. ISBN 978-0-89820-172-7.
- ↑ Rogan, Johnny. (1998). 《The Byrds: Timeless Flight Revisited》 2판. Rogan House. 269쪽. ISBN 0-9529540-1-X.